메인이미지
^
TOP
COMPANY
section1
TECHNOLOGY
section2




×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속형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알테오젠의 NexP™ 지속형 기술은 인체 혈액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인간A1AT (Alpha-1 Antitrypsin)단백질을 이용하여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통해 바이오의약품의 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단백질 운반체로 사용하는 2세대 지속형 기술이다. A1AT는 수년 간 폐기종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그 안전성이 이미 입증되어 있는 안전한 단백질이다. *체내 지속성 증가 *단백질 고유의 활성 제거
×

많은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항암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가운데, 이상적인 항암치료제는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추적, 제거하면서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표적치료제이다.이를 위한 항체-약물 접합체 (antibody-drug conjugate, ADC)는 암세포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높은 항체를 운반체로 하여, 매우 높은 세포독성을 갖는 항암물질을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운반하는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다. ㈜알테오젠은 고유의 원천 기반기술인 NexMab™ ADC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항암치료제를 2세대 항체-약물 접합체로 개발하고 있다. *암세포에 대한 높은 표적성 *강력한 항암치료 효과
×

(주)알테오젠이 개발한 Hybrozyme™ Technology은 원래 효소의 고유한 작용기작을 유지하면서 단백질 구조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단백질공학 기술이다. (주)알테오젠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Hyaluronidase) 의 하나에 Hybrozyme™ Technology을 적용하여 효소 활성과 열 안정성이 증가한 신규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를 개발하였다. ALT-B4는 피하의 히알루론산을 가수분해하여 정맥주사에서 피하주사 방식으로 약물전달 방식을 변경할 수 있어 5분 이내의 주사시간으로 환자 편의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안과 수술에서 마취제의 확산과 미용 분야에서 피부에 주입한 히알루론산 필러를 분해할 때도 사용된다. * 효소 활성과 열 안정성 향상 * CHO 세포에서 높은 단백질 발현률로 생산성 증가
×

Blockbuster 단일클론 항체 유방암/위암 치료제70억 달러 시장 (2016) 임상 1상 완료 (Canada)(브라질 Cristalia 사 제휴)
초고속 성장 바이오의약품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제135억 달러 시장 (2021) 바이오시밀러 개발고유 제형/제법 특허 보유 ㈜알테오젠은 당사 고유의 세포주, 생산 공정 및 분석법 등의 독자적인 바이오시밀러 기술을 자체로 개발하여, 오리지널 단백질의약품과 효능은 동등하면서도 가격은 저렴한 바이오시밀러 의약품들을 개발하고 있다.
PIPELINE-PROJECT
(각 그래프 앞에 마우스를 올리시면 그래프가 작동합니다.)
Research Process Pre-clinical Phase 1 Phase 2 Phase 3ALT-P1
Long-acting Human Growth Hormone
Domestic Phase II in Progress / Preparation of global Phase II
×

㈜알테오젠은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인 ALT-L2를 개발 중에 있다. · 허셉틴은 Roche 사의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으로, 2016년 현재 70억 달러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블록버스터 단일클론항체 의약품이다. 특히, 효능이 뛰어나면서도 부작용이 적고, 2010년 위암의 적응증이 추가 (미국 FDA)되어 위암 환자가 많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다른 항체치료제에 비해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 허셉틴 오리지널의 물질 특허는 유럽과 미국에서 각각 2014년과 2019년에 만료되며, 이에 맞추어 많은 제약사들이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있다. · ㈜알테오젠은 브라질의 크리스탈리아 사와 공동 개발을 진행하여 임상 1상 시험을 캐나다에서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중국 치루제약이 임상 3상을 완료하였으며, 임상결과보고서를 수령하고 중국 내 품목허가 과정에 있다.
ALT-P7
Breast/Gastric Cancer ADC
Domestic Phase I completed
×

· ㈜알테오젠은 원천 기반기술인 NexMab™ ADC 기술을 사용하여 유방암 및 위암의 항체-약물 접합체 표적치료제인 ALT-P7을 개발하고 있다. · 20~25%의 유방암 환자와 10~15%의 위암 환자에서 암세포 표지단백질인 HER2가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ER2는 현재까지 밝혀진 암 표지물질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항암 표적으로, 허셉틴과 퍼제타 등의 단일클론 항체치료제와 캐싸일라라는 항체-약물 접합체가 HER2를 표적으로 하여 시장에 출시된 바 있다. · ALT-P7은 HER2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약물 접합체로서 NexMab™ ADC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데, 매우 높은 세포독성 물질인 MMAE가 항체의 중쇄 C-말단에 도입된 펩타이드 내의 시스테인 기에 접합되어 있다. 평균적으로 3.5개의 세포독성 물질인 DM1이 접합된 캐싸일라와는 달리, ALT-P7에서는 2개의 MMAE만이 위치 특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처럼 접합된 약물의 개수가 적은데도 불구하고 ALT-P7은 캐싸일라와 비교하여 월등히 우월한 안정성과 동물 실험에서의 항암 효과를 보여주는 등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임상 1상 시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으며, 임상 2상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
ALT-L9
Eylea Biosimilar
Global Phase III Clinical Trial in Progress
×

· ㈜알테오젠은 자회사 알토스 바이오로직스와 공동 개발을 통해 아일라아(애플리버셉트) 바이오시밀러 ALT-L9을 개발 중이다. · 아일리아는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제로서, 2022년 세계 시장 규모는 96억 달러에 달하며, 인구 노령화에 따라 2027년 153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가 예상된다. · 아일리아는 성장성이 높은 바이오 의약품이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오리지널 대비 저렴한 바이오시밀러가 출시되면 그 동안 고가 의료비 부담으로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잠재 환자들로 인해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알테오젠은 미국 GLP 비임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현재 임상 3상의 투약을 마치고 유럽의약품청(EMA)에 판매허가(MAA)를 신청했다.
ALT-L2
Herceptin Biosimilar
BLA in China
×

· ㈜알테오젠은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인 ALT-L2를 개발 중에 있다. · 허셉틴은 Roche 사의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으로, 2016년 현재 70억 달러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블록버스터 단일클론항체 의약품이다. 특히, 효능이 뛰어나면서도 부작용이 적고, 2010년 위암의 적응증이 추가 (미국 FDA)되어 위암 환자가 많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다른 항체치료제에 비해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 허셉틴 오리지널의 물질 특허는 유럽과 미국에서 각각 2014년과 2019년에 만료되며, 이에 맞추어 많은 제약사들이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있다. · ㈜알테오젠은 브라질의 크리스탈리아 사와 공동 개발을 진행하여 임상 1상 시험을 캐나다에서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중국 치루제약이 임상 3상을 완료하였으며, 임상결과보고서를 수령하고 중국 내 품목허가 과정에 있다.
MEDIA
section4
- 알테오젠 “상반기 내 신규 SC제형 기술이전 계약 전망”2025.01.17
- [투자리포트] 알테오젠, 키트루다SC 임상 결과로 수요 러시 기대2025.01.09
- 알테오젠, JP모건서 'SC 기술'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추진2025.01.08
- 알테오젠, 엔허투SC 개발에 총 3억달러 독점계약 체결2024.11.09
STOCK
section4
RECRUIMENT
section5
- 2025
- 알테오젠
- QA그룹 담당자
- 채용공고
- 02.07FRI ---- 02.23SUN
알테오젠은 바이오베터와 바이오시밀러를 연구개발 하고있는 기술선도 바이오 기업입니다.
- Hybrozyme Technology 원천기술
- 바이오베터 기술인 NexP™ 지속형 기술
- NexMab™ ADC기술 등을 연구개발

section5
- 알테오젠과 함께 성장할 인재를 구합니다.
- A mbitious
- L ively
- T enacious
- E thicality
- O ptimistic
- G enuine
- E lastic
- N ovelty